맨위로가기

세르게이 코롤료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게이 코롤료프는 러시아 제국의 엔지니어이자 소련의 로켓 과학자로,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 발사와 유인 우주 비행 보스토크 1호의 성공을 이끌며 소련 우주 개발 프로그램을 주도했다. 그는 액체 연료 로켓 개발을 시작했으나, 대숙청 시기 투옥되어 강제 수용소에서 고난을 겪었다. 석방 후 스푸트니크 계획과 보스토크 계획을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보스호트 계획과 소유스 계획을 추진했으나 사망으로 인해 달 착륙 계획은 완수하지 못했다. 코롤료프는 1966년 사망 이후 그의 업적이 널리 알려졌으며, 베르너 폰 브라운과 함께 미-소 우주 경쟁의 중심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공학자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블라디미르 첼로메이는 소련의 로켓 및 우주 기술 개발을 주도한 과학자이자 설계자로, 순항 미사일 개발을 시작으로 OKB-52 설계국을 설립하여 프로톤 로켓, 폴료트 위성, 알마즈 군사 궤도 정거장 등 다양한 우주 기술 개발에 기여하며 소련 우주 개발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우크라이나의 공학자 - 스테판 티모셴코
    스테판 티모셴코는 러시아 제국 출신 공학자이자 교육자로, 재료역학, 탄성학, 진동 이론에 공헌했으며, 키예프 폴리테크닉 대학교,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교통 대학교,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미시간 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연구 및 교육 활동을 펼쳤고, 티모셴코 보 이론과 저서를 통해 공학 발전에 기여하여 ASME는 그의 업적을 기려 티모셴코 메달을 제정했다.
  • 소련 강제 수용소 생존자 - 메나헴 베긴
    메나헴 베긴은 이스라엘의 총리이자 이르군의 지도자로서 이스라엘 건국에 기여하고, 리쿠드를 이끌어 정권 교체를 이루었으며, 캠프 데이비드 협정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레바논 침공 등으로 논란이 되기도 한 인물이다.
  • 소련 강제 수용소 생존자 - 오토 티에프
    에스토니아의 정치인이자 변호사였던 오토 티에프는 독립 전쟁 참전, 리기코구 의원, 장관 등을 역임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스토니아 총리로 임명되어 소련에 저항했으나 체포되어 강제 노역 후 복권되었으며 그의 독립운동 정신은 에스토니아인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지토미르 출신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피아니스트로, 겐리흐 네이가우스에게 사사받고 1945년 소련 음악 콩쿠르에서 우승했으며, 베토벤 등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하며 중량감 있고 따뜻한 연주로 호평받았다.
  • 지토미르 출신 - 블라디미르 코롤렌코
    블라디미르 코롤렌코는 러시아 제국 시대 우크라이나 출신의 작가이자 사회 운동가로, 억압받는 민중의 삶을 묘사한 작품과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헌신적인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세르게이 코롤료프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세르게이 코롤료프
원어 이름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로마자 표기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출생일1907년 1월 12일
출생지지토미르, 볼히니아 현, 러시아 제국 (현재 우크라이나, 지토미르)
사망일1966년 1월 14일
사망지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안장지크렘린 벽 묘지, 모스크바
배우자크세니아 빈센티니
니나 이바노브나 코텐코바
자녀1명
1934년의 코롤료프
1934년
군사 경력
소속소비에트 육군
복무 기간1945년 ~ 1952년
계급대령
교육
학력키예프 폴리테크닉 대학교
바우만 모스크바 국립 공과대학교
직업 및 활동
직업로켓 공학자, 소비에트 우주 계획의 수석 설계자
주요 업적로켓 개발
(최초의 인공위성, 유인 로켓)
수상 및 훈장
수상사회주의 노동 영웅 (1956년, 1961년)
레닌상 (1971년)
훈장레닌 훈장 3회
특별 영예장
노동 영웅 메달
기타
서명

2. 초기 생애와 교육

코롤료프와 그의 보모 바르바라 마르첸코 (1907)


1912년의 코롤료프


1925년 코롤료프


1927년 코롤료프


코롤료프는 당시 러시아 제국령이었던 우크라이나 지토미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모길레프 출신의 러시아인 교사 파벨 야코블레비치 코롤료프였고, 어머니 마리아 니콜라예브나 코롤료바(결혼 전 성 모스칼렌코)는 니진 출신의 부유한 상인의 딸로 우크라이나, 그리스, 폴란드 혈통을 지녔다.[4][5][6]

세르게이가 태어난 지 3년 후, 부모는 재정적 어려움으로 헤어졌다. 어머니는 아버지 파벨이 사망했다고 말했고, 세르게이는 아버지가 1929년에 세상을 떠날 때까지 만나지 못했다. 코롤료프는 니진[3]에서 외조부모의 보살핌 아래 자랐다. 어머니 마리아는 키예프에서 여성 고등 교육 과정을 다녔기 때문에 세르게이는 종종 혼자 지냈고, 친구가 거의 없는 외로운 아이였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수학, 읽기, 쓰기 능력이 뛰어났고 기억력이 좋다는 평가를 받았다. 1916년 어머니는 전기 기술자인 그리고리 미하일로비치 발라닌과 재혼했고, 그리고리는 코롤료프에게 좋은 영향을 주는 계부가 되었다. 1917년 가족은 오데사[3]로 이주하여 러시아 혁명과 내전의 격동기를 겪었다. 학교가 문을 닫아 코롤료프는 집에서 공부해야 했고, 1919년에는 식량 부족으로 발진티푸스를 앓기도 했다.[3]

오데사에서 코롤료프는 건축 무역 학교에서 목공과 일반 학문을 배웠다. 1913년 에어쇼를 본 후 항공 공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고, 독학으로 비행 이론을 공부하며 현지 글라이더 클럽에서 활동했다. 1923년에는 우크라이나 및 크림 항공 및 항공 항해 협회(OAVUK)에 가입하여 첫 비행 수업을 받고 여러 차례 비행을 경험했다. 1924년, 17세의 나이로 OAVUK 프로젝트 글라이더 K-5를 설계했다.

코롤료프는 주코프스키 공군 공학 아카데미 진학을 희망했으나 기준 미달로 실패하고, 1924년 키예프 공과대학교 항공학과에 입학했다. 그는 아르바이트로 학비를 벌며 공학, 물리학, 수학 등을 공부했고, 이곳에서 미래의 아내가 될 크세니아 빈첸티니를 만났다. 1925년 글라이더 제작 수업에 참여했다가 부상을 입기도 했다. 1926년 7월, 그는 바우만 모스크바 국립 기술대학교(MVTU)에 입학하여 저명한 항공기 설계자 안드레이 튜폴레프의 지도를 받았다.[3]

코롤료프는 MVTU에서 공부하는 동안 글라이더와 동력 항공기 조종을 즐겼으며, 1928년에는 직접 글라이더를 설계하여 이듬해 대회에서 조종하기도 했다. 1929년 말, 국가의 기술 인력 수요 증대에 따라 실용 항공기 설계를 통해 졸업 자격을 얻었고, 1930년에 학교를 졸업했다. 졸업 후 그는 폭격기 설계에 참여하면서 항공기에 제트 추진력을 적용하는 방안을 구상했고, 1931년에는 제트 추진력 연구 그룹(GIRD)에 합류했다.

3. 로켓 개발 경력

1931년 우주 여행 애호가 프리드리히 잔더와 함께 반응 운동 연구 그룹(GIRD) 창설에 참여하며 로켓 개발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7] 1932년 5월 그룹 책임자가 되었고, 군사적 관심 덕분에 연구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었다. 1933년 8월 18일에는 최초의 하이브리드 추진제 로켓인 GIRD-09를 발사했고,[8] 같은 해 11월 25일에는 소련 최초의 액체 연료 로켓인 GIRD-X 발사에 성공했다.[9]

1933년 GIRD는 레닌그라드의 가스 역학 연구소(GDL)와 합병하여 반응 과학 연구소(RNII)가 되었고, 코롤료프는 이곳에서 발렌틴 글루슈코 등 소련 최고의 로켓 인재들과 함께 일하게 되었다. 코롤료프는 1933년 신설된 제트 추진력 연구소의 소장이 되었다. 그러나 연구 방향에 대한 의견 차이 등으로 1934년 유도 미사일 부서장으로 강등되기도 했다.

1938년 대숙청의 영향 속에서 코롤료프 역시 발렌틴 글루시코의 고발로 체포되어 10년 형을 선고받고 시베리아의 굴락으로 보내졌다. (자세한 내용은 #대숙청과 강제 수용소 생활 참조) 수용소 생활로 건강이 크게 악화되었으나, 1944년 석방되었다. 이 사건으로 코롤료프는 평생 글루시코를 불신하게 되었다.

1945년 석방 후 첫 영예 훈장을 받고 소련군 대령 계급을 받았다. 같은 해 독일로 파견되어 나치 독일V-2 로켓 기술 정보를 수집했다. 1946년에는 오소아비아힘 작전을 통해 2,000명 이상의 독일 과학자와 기술자들이 소련으로 이송되었고, 이들과 협력하여 V-2 로켓 복제 작업에 착수했다. 코롤료프는 모스크바 교외에 신설된 제88연구소(NII-88)의 장거리 미사일 수석 설계자로 임명되었다.

독일 기술자들의 도움으로 1947년 V-2의 복제품인 R-1 로켓 발사에 성공했다. 그러나 코롤료프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더 발전된 로켓 개발을 추진했다. 같은 해 코롤료프가 설계한 R-2 로켓은 V-2의 두 배에 달하는 비행 거리를 기록했다. 이후 독일 기술자들은 1951년부터 1953년 사이에 동독으로 귀환했다.

1950년 NII-88 내에 설치된 제1설계국(OKB-1)의 주임 설계자로 임명되었고, 1952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하여 연구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했다. 글루시코가 설계한 엔진 문제로 개발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1953년에는 사정거리 1200km의 중거리 탄도 미사일 R-5 개발에 성공했다.

1957년 8월, 마침내 세계 최초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인 R-7 로켓 실험에 성공했다. 모의 탄두를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극동의 캄차카반도까지 도달시키는 데 성공한 것이다.[7] R-7의 성공으로 소련은 미국 본토를 직접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으며, 이는 냉전 시대 군비 경쟁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코롤료프는 R-7 성공으로 국가적 영웅으로 인정받았지만, 그의 이름은 여전히 비밀에 부쳐졌다. 같은 해 4월, 1938년의 체포와 재판이 부당했다는 판결을 받아 공식적으로 명예를 회복했다.[17][3]

3. 1. 대숙청과 강제 수용소 생활

조셉 스탈린의 대숙청은 코롤료프가 속한 제트 추진력 연구소(RNII)에도 큰 타격을 입혔다. 1937년 연구소 소장 클레이미요노프와 수석 엔지니어 랑게막이 체포되어 고문을 받고 허위 자백을 강요당한 뒤 1938년 1월 처형되었다. 발렌틴 글루시코 역시 1938년 3월 체포되어 다른 주요 엔지니어들과 함께 굴락에 수감되었다.

코롤료프는 1938년 6월 27일 소련 내무인민위원부(NKVD)에 체포되었다. 이는 앞서 체포되었던 글루시코의 고발[51]과, 연구소 지도부가 숙청된 후 책임자가 된 안드레이 코스티코프가 글루시코와 코롤료프를 밀고한 데 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롤료프에게는 테러 조직 가담, 연구 지연 및 태만으로 인한 국가 자원 낭비 등 여러 혐의가 씌워졌다. 그는 루뱐카 감옥에서 턱뼈가 부러질 정도의 심한 고문을 당하며 자백을 강요받았다.[51] 결국 10년형을 선고받고 시베리아 극동 콜리마 지역의 금광에 있는 굴락(강제 노동 수용소)으로 보내졌다.

코롤료프는 콜리마의 금광에서 강제 노동을 해야 했다. 열악한 식량, 비위생적인 숙소, 부족한 의복 등 끔찍한 수용소 환경 속에서 수많은 수감자가 목숨을 잃었다. 코롤료프 역시 이곳에서 극심한 고초를 겪으며 건강이 크게 악화되었다. 그는 고문 후유증과 더불어 괴혈병으로 이를 거의 다 잃었으며, 심장 질환까지 앓게 되었다.[11][51] 이러한 정치적 숙청은 소련의 로켓 기술 발전을 나치 독일에 비해 뒤처지게 만드는 결과를 낳았다.

코롤료프는 감옥에서 스탈린을 포함한 당국에 여러 차례 탄원서를 보냈다. NKVD 국장 니콜라이 예조프가 실각하고 라브렌티 베리아가 새로운 국장이 된 후, 1939년 코롤료프의 사건은 축소된 혐의로 재심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당시 콜리마 수용소에 있던 코롤료프는 몇 달 뒤에야 재심 소식을 들을 수 있었다. 모스크바로 돌아온 그의 형량은 8년으로 감형되었다.[12]

이후 그의 옛 스승이자 저명한 항공기 설계자인 안드레이 투폴레프의 탄원과 개입 덕분에, 코롤료프는 1940년 9월 모스크바 인근의 '샤라슈카'로 이감되었다. 샤라슈카는 과학자와 기술자들을 수감하여 특정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하는 특별 감옥이었다. 코롤료프는 투폴레프가 이끌던 NKVD 소속 '중앙 설계국 29'(CKB-29)에 배치되어 제2차 세계 대전투폴레프 Tu-2 폭격기와 페틀랴코프 Pe-2 급강하 폭격기 개발에 참여했다. 전쟁 중 독일군의 진격을 피해 샤라슈카는 여러 차례 이전했으며, 코롤료프는 1942년 카잔에 있는 다른 샤라슈카(OKB-16)로 옮겨져 그곳에서 글루시코와 함께 항공기용 보조 로켓 모터(RD-1 kHz[13])를 설계하기도 했다.

코롤료프는 1944년 6월 27일, 투폴레프, 글루시코 등 다른 과학자들과 함께 특별 정부 명령으로 석방되었다. 하지만 그에 대한 혐의가 완전히 취하된 것은 1957년의 일이었다.[14]

굴락에서의 끔찍한 경험은 코롤료프에게 깊은 정신적 상처를 남겼고, 그는 이후 평생 내성적이고 신중한 성격이 되었다. 그는 수용소 생활에 대해 거의 이야기하지 않았다. 후에 코롤료프는 글루시코가 자신을 허위로 고발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는 두 사람 사이에 평생에 걸친 깊은 불신과 적대감의 원인이 되었다. 이들의 불화는 이후 소련의 우주 개발 프로그램 진행에 적지 않은 걸림돌이 되었다. 소련 총리 니키타 흐루쇼프는 두 사람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직접 나서 화해를 주선하려 했으나 실패했다고 회고록에 남기기도 했다.

4. 우주 개발 프로그램 주도

1957년 8월, 코롤료프가 개발을 주도한 R-7 로켓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실험에 성공하여 모의 탄두를 카자흐스탄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캄차카반도까지 도달시켰다. 이 성공으로 소련미국 본토를 직접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으며, 이는 이후 우주 개발 경쟁의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코롤료프는 이 강력한 R-7 로켓을 활용하여 우주 개발을 향한 야심찬 계획들을 실행에 옮겼다. 그는 스푸트니크 계획보스토크 계획을 통해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스푸트니크 1호, 1957년), 최초의 생명체 우주 비행(라이카 탑승 스푸트니크 2호, 1957년), 그리고 인류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유리 가가린 탑승 보스토크 1호, 1961년)을 연이어 성공시키며 초기 우주 경쟁에서 소련의 우위를 확립했다.

이후 코롤료프는 유인 달 탐사를 목표로 대형 우주선 소유스와 거대 로켓 N-1의 개발을 이끌었다. 그러나 1966년 암 수술 도중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이 원대한 계획은 미완으로 남게 되었다. 그의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고, 유해는 모스크바 붉은 광장의 벽에 안치되었다.

코롤료프는 레닌 훈장을 받는 등 그의 업적을 높이 평가받았지만, 소련의 비밀주의 정책 때문에 그의 신원은 사망 전까지 서방 세계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미국베르너 폰 브라운과 함께 냉전 시대 우주 경쟁을 이끈 핵심 인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은 단 한 번도 만나지 못했으며 폰 브라운은 코롤료프가 사망한 후에야 그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52]

그가 설계한 R-7 로켓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개량되어 높은 신뢰성을 인정받으며 '로켓계의 폭스바겐'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코롤료프 사후 제1설계국(OKB-1)의 책임자 자리는 그의 오랜 동료였던 바실리 미신이 이어받았다.

4. 1. 스푸트니크 계획과 보스토크 계획

코롤료프는 1953년 소련 과학 아카데미에 를 태운 인공위성 발사 가능성을 제안했지만, 군과 당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했다. 그러나 1957년이 국제 지구 관측년으로 지정되고, 서방 언론을 통해 미국이 인공위성 발사를 계획 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자 상황이 바뀌었다. 코롤료프는 미국이 비용 문제로 계획을 동결한 틈을 타 소련이 먼저 인공위성을 발사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여 마침내 승인을 얻어냈다.[18][19] 초기 계획이었던 복잡한 과학 실험실 위성 '오브젝트 D'는 개발 지연과 R-7 로켓의 성능 문제에 부딪혔다. 이에 코롤료프는 약 100kg의 더 간단한 위성인 '오브젝트 PS' 개발 계획을 제출하여 승인받았다.[7]

1957년 10월 4일, 코롤료프는 R-7 로켓을 이용하여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3] 무게 83.6kg의 이 작고 단순한 인공위성은 대기권 밖에서 지구 궤도를 돌며 전 세계에 신호를 보냈다. 이 성공은 소련 과학 기술의 우수성을 과시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니키타 흐루쇼프 제1서기는 이를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반면 미국을 비롯한 서방 세계는 소련의 갑작스러운 기술적 도약에 큰 충격을 받았는데, 이는 스푸트니크 쇼크로 불리며 이후 우주 경쟁을 촉발하는 중요한 사건이 되었다.[7]

스푸트니크 1호의 성공에 고무된 흐루쇼프는 러시아 혁명 40주년 기념일(1957년 11월 7일)에 맞춰 더욱 인상적인 성과를 요구했다. 코롤료프와 그의 팀은 불과 4주 만에 시험이나 품질 검사도 제대로 거치지 못한 채 스푸트니크 2호를 개발해야 했다. 1957년 11월 3일 발사된 스푸트니크 2호는 무게가 500kg을 넘었으며, 인류 최초로 살아있는 생명체인 라이카를 태우고 우주 궤도로 나아갔다. 이는 세계를 다시 한번 놀라게 했지만, 당시 기술로는 라이카를 지구로 무사히 귀환시킬 방법이 없었다. 결국 라이카는 발사 후 몇 시간 만에 우주선 내부의 과열로 인해 사망했다.[21]

이후 1958년 5월 15일, 여러 과학 계측 장비를 탑재한 스푸트니크 3이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첫 발사 시도는 4월 27일에 실패했었다).[22] 그러나 탑재된 데이터 기록 장치가 고장 나는 바람에 밴 앨런 방사선대 발견과 같은 중요한 과학적 성과는 미국의 익스플로러 3[23] 및 파이오니어 3 위성에 돌아가게 되었다. 그럼에도 스푸트니크 3의 발사는 소련이 강력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미국에게 확실히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스푸트니크 시리즈의 연이은 성공 이후, 코롤료프는 인류의 오랜 꿈이었던 유인 우주 비행 실현을 위해 보스토크 우주선 개발을 이끌었다. 마침내 1961년 4월 12일, 보스토크 1호는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을 태우고 인류 역사상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에 성공했다. 이 역사적인 성공은 우주 경쟁에서 소련이 미국을 상대로 또 한 번 결정적인 우위를 점하게 했으며, 코롤료프의 업적 중 가장 빛나는 순간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5. 사망과 유산

1960년 12월 3일, 코롤료프는 첫 번째 심근 경색을 겪었다. 요양 중 굴라크 수감 시절 얻은 신장 질환도 발견되었다. 의사들은 과로를 피하라고 경고했지만, 그는 니키타 흐루쇼프가 우주 프로그램의 선전적 가치에만 관심을 두며, 미국에 뒤처지면 프로그램을 중단할 것을 우려하여 계속해서 연구에 몰두했다.

1962년 무렵 코롤료프의 건강은 더욱 악화되어 장출혈, 심장 부정맥, 담낭염 등 여러 질병을 앓았다. 과도한 업무와 로켓 엔진 시험 소음으로 인한 청력 손실도 겪고 있었다.

1965년 12월, 코롤료프는 대장에서 출혈성 용종 진단을 받았다. 1966년 1월 5일 비교적 간단한 수술을 위해 입원했으나, 9일 후인 1월 14일 수술 중 사망했다. 그의 정확한 사망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설명이 있다. 소련 정부는 큰 악성 종양이 원인이었다고 발표했지만, 발렌틴 글루슈코는 치질 수술의 실패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설명에 따르면, 수술 중 예상치 못한 출혈이 발생했고, 굴라크 수감 시절 다친 턱 때문에 기관 삽관이 어려워 결국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했다고 한다. 코롤료프의 가족은 암이 원인이었다는 정부 발표를 확인했으며, 그의 약해진 심장 역시 수술 중 사망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39]

이오시프 스탈린 시대부터 이어진 소련의 정책에 따라 코롤료프의 신원은 그의 사후까지 비밀에 부쳐졌다. 이는 미국의 스파이로부터 그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알려져 있다. 소련 국민들은 1966년 1월 16일 프라우다 신문에 그의 부고와 사진이 실린 후에야 그의 업적을 알게 되었다. 코롤료프의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으며, 그의 유해는 크렘린궁 벽 묘지에 안장되었다.

코롤료프의 묘(왼쪽) 크렘린 성벽 묘지


코롤료프의 사후, 그의 수석 부설계자였던 바실리 미신이 제1설계국(OKB-1)의 책임자 자리를 이어받아 N-1 로켓 개발을 계속했지만, 네 차례의 시험 발사가 모두 실패로 돌아가면서 1972년 발렌틴 글루슈코에게 자리를 넘겨주었다. 이때는 이미 미국이 아폴로 계획을 통해 달 착륙에 성공한 뒤였고, 소련의 유인 달 탐사 계획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서기장에 의해 취소되었다.

코롤료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많은 기념 사업이 이루어졌다.

  • 1966년 모스크바의 한 거리가 '아카데미크 코롤료프 거리'(Улица Академика Королёва|울리차 아카데미카 코롤료바rus)로 명명되었다.
  • 1975년 그가 1959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살았던 집에 'S.P. 코롤료프 기념 박물관'(The memorial home-museum of akademician S.P.Korolyoveng)이 설립되었다.[46]
  • 1976년 국제 우주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2]
  • 1996년 모스크바주의 도시 칼리닌그라드가 그를 기려 코롤료프로 개칭되었다. 이 도시에는 러시아 최대 우주 기업인 RSC 에네르기야 본사가 있으며, 코롤료프의 대형 동상이 세워져 있다.
  • 의 뒷면과 화성에 그의 이름을 딴 분화구가 있으며, 소행성 1855 코롤료프도 그의 이름을 땄다.
  • 러시아우크라이나의 여러 도시에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그가 태어난 지토미르에는 생가 맞은편에 코롤료프 기념 우주 박물관이 있다.
  • 로켓 발사 시 부스터가 분리될 때 나타나는 십자 모양의 연기 흔적은 코롤료프 십자가라고 불린다.
  • 아에로플로트2021년 그의 이름을 딴 보잉 777 항공기를 도입했다.

1969년 소련 우표에 담긴 코롤료프(10코페크)


1989년 루마니아 우표에 담긴 코롤료프


그가 설계한 R-7 로켓은 지속적인 개량을 거쳐 2017년 현재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높은 안정성 덕분에 '로켓계의 폭스바겐'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코롤료프는 미국베르너 폰 브라운과 함께 냉전 시대 우주 경쟁을 이끈 대표적인 인물이지만, 두 사람은 생전에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었으며, 폰 브라운은 코롤료프가 사망한 후에야 그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52]

5. 1. 사후 평가와 영향

세르게이 코롤료프는 소련의 우주 개발 프로그램을 이끈 핵심적인 인물로서, 특히 미국과의 치열한 우주 경쟁 시기에 소련이 초기 우위를 점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강력한 리더십과 기술적 비전은 동시대 인물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우주비행사 알렉세이 레오노프는 코롤료프가 가졌던 절대적인 권위에 대해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2]

> 우리가 그를 만나기 오래전, 훈련 초기에 우리 대화의 상당 부분을 지배했던 한 사람이 있었는데, 바로 소련 우주 프로그램의 배후에 있는 천재, 세르게이 파블로비치 코롤료프였다. 그는 항상 이름 앞 두 글자의 약자인 SP 또는 "수석 설계자"라는 신비로운 직함, 또는 간단히 "수석"으로만 언급되었다. 우주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들에게는 그보다 더 높은 권위는 없었다. 코롤료프는 최고의 성실성을 가진 사람으로 명성이 있었지만, 동시에 극도로 까다로운 사람이기도 했다. 그의 주변 사람들은 모두 그의 분노를 불러일으킬까 봐 잔뜩 긴장하며 살았다. 그는 마치 신처럼 대우받았다.

코롤료프는 스푸트니크 발사 성공 이후 보스토크 우주선 개발을 주도하여 1961년 유리 가가린을 인류 최초로 우주 궤도에 올리는 역사적인 성공을 거두었다.[3] 이는 우주 경쟁에서 소련이 미국을 앞서는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이후 보스호드 우주선을 통해 세계 최초의 다인승 우주 비행과 최초의 우주 유영을 성공시키는 등[32][33] 소련 우주 기술의 혁신을 이끌었다.

그의 궁극적인 목표 중 하나는 달 탐사였으며, 이를 위해 거대한 N1 로켓과 소유즈 우주선 개발에 착수했다.[34] 그러나 1966년 갑작스러운 그의 죽음은 소련의 달 탐사 계획에 큰 차질을 빚게 했고, 결국 미국과의 달 경쟁에서 뒤처지는 결과를 낳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롤료프가 구축한 기술적 기반과 조직적 역량은 이후 소련 및 러시아 우주 개발의 중요한 자산으로 남았다.

코롤료프의 극적인 삶과 업적은 사후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통해 재조명되고 있다.

코롤료프를 다룬 주요 문화 콘텐츠
매체작품명연도배우/작가비고
영화《불의 길들이기》 (Укрощение огняrus)1972키릴 라브로프소련 영화에서 최초로 코롤료프 묘사
소설《수석 설계자》 (The Chief Designer)2001앤디 던컨코롤료프의 삶을 다룬 허구 소설
다큐드라마《우주 경쟁》 (Space Race)2005스티브 닉슨BBC 공동 제작
연극《작은 독수리들》 (Little Eagles)2011로나 문로 (작가), 다렐 드실바 (코롤료프 역)왕립 셰익스피어 극단 제작[47][48][49]
영화《가가린: 우주 최초의 인간》 (Гагарин. Первый в космосеrus)2013미하일 필리포프
영화스페이스 워커》 (Время первыхrus)2017블라디미르 일린
TV 시리즈포 올 맨카인드》 (For All Mankind)2019~엔드레 훌레스 (시즌 2)코롤료프가 수술에서 살아남아 소련이 먼저 달에 착륙하는 대체 역사[50]


참조

[1] 논문 Historical aspects of the early Soviet/ Russian crewed space program http://jap.physiolog[...] 2001-10-01
[2] 서적 Scott and Leonov
[3] 웹사이트 Late great engineers: Sergei Korolev – designated designer https://www.theengin[...] 2021-01-06
[4] 서적 Наталия Королева – С.П. Королев Отец http://epizodsspace.[...] Москва Наука 2021-04-18
[5] 서적 Наталия Королева – С.П. Королев Отец http://epizodsspace.[...] Москва Наука
[6] 뉴스 В Житомире сто лет назад появился на свет Сергей Королев. ФОТО http://zhzh.info/new[...] Zhzh.info 2007-01-12
[7] 웹사이트 Korolev, Sputnik, and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ttps://history.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23-03-29
[8] 논문 Hybrid rocket propulsion technology for space transportation revisited - propellant solutions and challenges 2021-12
[9] 웹사이트 GIRD (Gruppa Isutcheniya Reaktivnovo Dvisheniya) http://weebau.com/ro[...]
[10] 웹사이트 The Space Age Turns 50 - Ideas of Space Flight from the Early 20th Century Korolev, the R-7, and Sputnik https://faculty.etsu[...]
[11] 웹사이트 Sergei Korolev: the rocket genius behind Yuri Gagarin http://www.theguardi[...] 2011-03-13
[12] 서적 Into that Silent Sea: Trailblazers of the Space Era, 1961–1965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3] 간행물 Last of the Wartime Lavochkins Bromley, Kent, U.K. 1976-11
[14] 서적 The Lesser Terror Greenwood Publishing Group
[15] 웹사이트 Soviet rocket research in Germany after World War II http://www.russiansp[...]
[16] 웹사이트 Sputnik Biographies--Sergei P. Korolev (1906-1966) https://history.nasa[...]
[17] 웹사이트 Sergei Korolev: Father of the Soviet Union's success in space https://www.esa.int/[...]
[18] 웹사이트 Sputnik remembered: The first race to space (part 1) (page 1) http://www.thespacer[...] The Space Review 2017-10-02
[19] 웹사이트 Sixty Years Later, Sputnik Declassifications Offer Primer in Fake News https://news.fordham[...] Fordham University 2017-10-10
[20] 서적 Sputnik and the Soviet Space Challenge The University of Florida Press
[21] 웹사이트 Sputnik-2 in orbit http://www.russiansp[...] 2021-04-18
[22] 웹사이트 Sputinik 3 http://www.astronaut[...]
[23] 웹사이트 Explorer A http://www.astronaut[...]
[24] 웹사이트 Korolev bureau http://www.astronaut[...]
[25] 웹사이트 Crimean space connection http://www.russiansp[...]
[26] 웹사이트 Landing of the Vostok spacecraft http://www.russiansp[...]
[27] 웹사이트 Spaceflight mission report: Vostok 5 http://www.spacefact[...] 2020-08-11
[28] 웹사이트 Declassified documents offer a new perspective on Yuri Gagarin's flight https://www.thespace[...] 2015-10-12
[29] 웹사이트 Voskhod: Mission impossible http://www.russiansp[...]
[30] 서적 Scott and Leonov
[31] 웹사이트 Перша пісня, яка пролунала в космосі, була українською! https://www.youtube.[...] 1962-08-12
[32] 웹사이트 From Vostok to Voskhod http://www.russiansp[...]
[33] 웹사이트 Kosmos-47: The Final test of Voskhod http://www.russiansp[...]
[34] 웹사이트 The Soviet manned Lunar program http://ocw.mit.edu/c[...]
[35] 백과사전 NK-15 http://www.astronaut[...]
[36] 웹사이트 The Moon Landing through Soviet Eyes: A Q&A with Sergei Khrushchev, son of former premier Nikita Khrushchev https://www.scientif[...]
[37] 서적 Никита Хрущев: Рождение сверхдержавы Vremya 2010
[38] 웹사이트 Sergei Khrushchev talks to Echo Moskvy http://echo.msk.ru/p[...]
[39] 뉴스 Sergei Korolev: the rocket genius behind Yuri Gagarin https://www.theguard[...] The Observer 2011-03-13
[40] 팟캐스트 Inside the Gulag https://www.washingt[...] 2019-08-13
[41] 웹사이트 Tupolev's Sharaga http://www.lib.ru/ME[...] 1973
[42] 웹사이트 International Space Hall of Fame :: New Mexico Museum of Space History :: Inductee Profile http://www.nmspacemu[...]
[43] 이미지 Image of 1969, 10k stamp. http://www.stampruss[...]
[44] 웹사이트 Air and Space Magazine https://archive.toda[...]
[45] 서적 These We Honor: The International Aerospace Hall of Fame Donning Co. Publishers 2006
[46] 웹사이트 The memorial home-museum of akademician S.P.Korolev http://www.museum.ru[...] 2005-02-06
[47] 웹사이트 What's On Main Stage http://www.hampstead[...]
[48] 웹사이트 Cast and creatives – Little Eagles http://www.rsc.org.u[...]
[49] 뉴스 Little Eagles – review https://www.theguard[...] 2011-04-21
[50] 웹사이트 'For All Mankind': Ronald D. Moore on Season 2 Tragedies, Season 3 Hints, and the Official Reason Why Russia Beat America to the Moon https://collider.com[...] 2021-04-23
[51] 일반텍스트
[52] 일반텍스트
[53] 일반텍스트
[54] 일반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